Eunju Hitchcock‐Yoo's Solo Show: The!Children!of!(13+11+15)*3

  • Artists: 유은주
  • HANMI GALLERY | SEOUL
  • 2016년 10월 13일 - 11월 6일

Download PDF (KOR)

Download PDF (ENG)

전시기간: 2016년 10월 13일(목) – 11월 6일(일)

오프닝 & 퍼포먼스: 2016년 10월 13일 (목)오후 5시

부대행사: 작가와의 대화 & 퍼포먼스 11월 6일 (일)오후 2시

전시장소: 한미갤러리서울

기획: Space_바421 +10AAA

주최: 한미갤러리

a

a<한미갤러리-서울>에서는 프로젝트 그룹 <10AAA>, <스페이스 바421>와 함께 영국에서 활동중인 작가 유은주 (E.J. Hichicock-Yoo)작가의 전시 주최함을 기쁘게 생각합니다. 본 전시에서는 이상 시인의 시 ‘오감도’를 시각적으로 발전시키면서 퍼포먼스와 이를 담은 비디오 영상으로 구성하였다. 한미갤러리-서울에서 상영될 3가지 (제1골목, 제2골목, 제3골목) 이 상영되며 이상의 시를 바탕으로 시대를 초월하여 공유할 수 있는 도시민의 정서를 시와 공간과 건축적인 요소들이 어우러진 영상을 통해 만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입니다.

a

유은주 작가의 <골목:13아해들(2015)>’ 은 런던 해크니 골목에서 2015년부터 시작하여 진행 중인 작업으로, 1934년 조선 중앙일보에서 연재되다 중단된 한국의 천재 시인 이상(李箱)의 ‘오감도(烏瞰圖)’ 제1호 시의 구조와 시상을 런던 해크니 골목 공간에서 행한 퍼포먼스와 결합시켜 영상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13인의아해(兒孩)가도로로질주하오’로 시작하는 이 시의 주된 모티브로 쓰이는 13이라는 숫자는 무수의 상징이되기도, 불길한 숫자의 상징이 되기도 한다고 해석된다. 이 시의 반복의 기법에 대해 ‘시라는 단순한 문자예술을 시, 공간예술로 확대 하려는 시도’ 라고 평가하기도 한다. 시의 공간적 배경, 건축적 구조와 주요한 심상에 담겨져 있는 알 수 없는 불안과 존재의 모호함, 그리고 불명확한 결말은 당시 일제의 식민과 전쟁, 가파른 근대화의 소용돌이 속에서 저항감을 잃은 도시의 무기력한 군중의 정서를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a


a

Date: 13th of October, 2016 – 6th of November 2016

Venue: Hanmi Gallery-Seoul

Opening Reception & Performance: 13th of October, 5pm

Artist Talk & Performance: 6th of November, 2pm

Curated by Space_ba421, 10AAA

Organised by Hanmi Gallery-Seoul

a

Hanmi Gallery is pleased to announce the exhibition, titled The Children of (13+11+15)*3, curated by Space_BA421 and 10AAA. In the show, artist E. J. Hitchcock-Yoo is inspired by a Korean poem, titled ‘Crow Eyes View’ that was written by a poet called Yi, Sang in 1930’s under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sation. They are working with performance and video installation.

a

Artist Yoo’ said that the poem depicted confusion and unpredictability arisen from the rapid social changes under the modernization and colonization. The poem has a clear asymmetric structure resembling the modern architectures, which was in contrast to its dominant lingual image of ambiguity. She believed the images implied in the poem could be still reflected upon the sentiment of today. When it was written in 30’s, it did not conform to the literature tradition at all and thus, people had often considered the poet being mad writing such incomprehensible pieces though, it has its own literary and visual structure in a very particular way. Within its cinematic set up and architectural structure, it brings fearsome tension, anxiety, cynicism and lethargy with repetitive lines of certain actions, uncertain objects and changeable relationships. This poem is often read as expression of deadly frustrated and confused intellect’s mind under the war‐time and rapidly modernising society.

a